오늘은 2025년 출산 후 정부에서 지원하는 혜택들에 대해 총정리해보겠습니다.
첫만남이용권, 부모급여, 양육수당, 아동수당, 전기료 경감, KTX 다자녀 행복, SRT 다자녀 가족 할인 등 여러 기관을 통해 신청해야 하는 서비스들을 한 번에 간편하게 통합 신청할 수 있는 '행복출산' 신청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.
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
출생신고와 함께 각종 출산지원 서비스를 한번에 통합신청하는 서비스입니다.
▼ 아래 링크에서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를 간편하게 신청해보시기 바랍니다.
출생신고와 동시에 또는 출생신고 이후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.
주민센터에 방문하시거나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해 간편하게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.
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에서는 첫만남 이용권, 부모급여, 양육수당, 아동수당, 전기료 경감, KTX 다자녀 행복, SRT 다자녀 가족 할인 등을 한번에 통합신청할 수 있으니 원스톱으로 출산 지원을 바로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.
첫만남 이용권(바우처)
출생아동에게 200만원 이상의 첫만남 이용권을 지급하여 생애초기 아동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입니다.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- 지원대상 : 출생아동
- 지원금액 : 200만원 상당의 첫만남 이용권을 지급, 둘째아 이상 출생아는 300만원 지급
- 지급방식 : 국민행복카드 이용권(포인트)
- 세부내용 : 국민행복카드 필요, 카드 신규 발급은 카드사에 직접 신청
삼성 국민행복카드 신청 바로가기 롯데 국민행복카드 신청 바로가기
KB 국민행복카드 신청 바로가기 신한 국민행복카드 신청 바로가기
부모급여(현금)
영아기 집중돌봄을 두텁게 지원하여 출산 및 양육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는 제도로,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- 지원대상 : 만 0~1세 아동
- 지원금액 : 만 0세 아동 월 100만원, 만1세 월 50만
가정양육수당
가정에서 아이를 돌보는 가정 양육 시, 부모의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보육 서비스에 대한 선택권을 보장하는 정부 정책입니다.
자세한 내용은 아래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.
- 지원대상 : 가정에서 양육되는 24개월 이상~86개월 미만 아동
- 지원금액 : 아동의 월령에 따라 월 10~20만원씩 정액지원됩니다.
아동수당
아동 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건강한 성장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아동의 기본적 권리와 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정부 지원 제도로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- 지원대상 : 만 8세 미만 아동(96개월 미만)
- 지원금액 : 아동 1인당 월 10만원 지급
- 유의사항 : 아동이 90일 이상 해외 체류 시 지급 중단
지자체 출산지원서비스(출산지원금 등)
지자체 출산지원서비스(출산지원금 등)도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한번에 통합신청이 가능합니다.
자세한 사항은 관할 주민센터에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.
출산 가구 전기료 감면
- 지원대상 : 3년 미만 영아가 1인 이상 포함된 가구에 지원
- 적용기간 : 신청일이 속하는 달부터 출생일로부터 3년이 되는 달까지
- 지원금액 : 전기요금의 30%할인(월 최대 16,000원)
다자녀 공공요금 경감
- 지원대상 : 출생자가 속하는 세대의 주민등록표상 세대주와의 관계가 '자' 또는 '손'인 자가 3인 이상인 경우
- 지원내용 : 전기료, 도시가스료, 지역난방비 경감
KTX 다자녀 행복 및 SRT 다자녀 가족 할인
- 지원대상 : 만 25세 미만 자녀 2명 이상을 둔 다자녀 가족 회원
- 지원내용 : 등록된 가족 중 3명 이상(어른 1명 포함) 탑승 시, 2자녀 가정은 30%, 3자녀 가정은 50% 운임 할인
해산급여
- 지원대상 : 생계, 주거, 의료급여 수급자가 출산한 경우
- 지원금액 : 출산아 1인당 70만원(쌍둥이 출산시 140만원)
여성장애인 출산비용지원
- 지원대상 : 등록장애인(1~6급) 여성이 당해연도에 출산이나 유산 또는 사산(임신기간 4개월 이상)을 했을 경우
- 지원금액 : 태아 1인 기준으로 100만원 지급
저소득층 기저귀, 조제분유 지원
저소득층 기저귀 지원
- 지원대상 : 만2세 미만 영아를 둔 기초생활보장,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족 수급 가구
- 지원내용 : 영아별로 기저귀 지원
- 지원형태 :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포인트
- 지원금액 : 월 64,000원
저소득층 조제분유 지원
- 지원대상 : 기저귀 지원대상 중 산모에게 모유수유가 불가능한 중대한 사유가 있는 경우, 아동복지시설・공동생활가정 ・가정위탁보호 ・입양대상 아동, 한부모 및 영아 입양 가정의 아동인 경우
- 지원형태 :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포인트
- 지원금액 : 월 86,000원
정부에서는 출산 가정에 다양한 혜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 출산 가정에서는 정부의 모든 혜택을 빠짐 없이 신청하고 지원받으시기 바랍니다. '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'를 이용하면 여러 가지 출산 지원 혜택을 한 번에 신청 가능하니, 꼭 확인하고 신청해보시기 바랍니다.
'아이 건강 및 육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이가 평발이라면? 맞춤 교정 깔창 & 아치형 깔창 추천! (0) | 2025.04.01 |
---|---|
아기 수면 장애, 성장에 영향? 철분제 추천 및 올바른 섭취 방법 (0) | 2025.04.01 |
청소년 임신, 데이트 폭력, 가정폭력 상담이 가능한 카카오톡 채널 & 전화번호 총정리 (0) | 2025.03.27 |
2025 청소년 산모 지원 정책 총정리 | 신청 방법 및 지급 금액 (1) | 2025.03.27 |
2025 임산부 정부지원 혜택 총정리 | 맘편한임신 간편 신청 방법 (1) | 2025.03.25 |
돌 전후 아이 성장 지표 – 평균 키 & 몸무게 기준표 (0) | 2025.03.20 |
유아 교육비, 이렇게 절약하자! 현실적인 절약법 5가지 (1) | 2025.03.19 |
신생아 황달, 두혈종… 신생아 때 주의해야 할 건강 문제 총정리 (0) | 2025.03.14 |